
위생관리컨설팅/HACCP컨설팅
본 센터는 식품제조·가공업소 및 축산물가공업의 제품 생산 및 판매의 전 과정에 대한 품질향상 및 위생관리등에 관한 전문적인 분석 지원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센터는 식품제조·가공업소 및 축산물가공업의 제품 생산 및 판매의 전 과정에 대한 품질향상 및 위생관리등에 관한 전문적인 분석 지원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ACCP란?
HACCP은 위해요소분석 (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의 영문 약자로서 해썹 또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한다.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 조리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율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라고 할 수 있다.
식품 HACCP 의무적용 분야
- 어묵, 냉동수산식품 (어류·연체류·조미가공품)
- 냉동식품 (피자류·만두류·면류)
-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 배추김치, 즉석조리식품 (순대)
- 매출액 100억 이상 제조업체
- 어육소시지, 음료류, 초콜릿류, 특수용도식품, 과자, 캔디류, 빵류, 떡류, 국수, 유탕면류, 즉석섭취식품
- 냉동식품 (피자류·만두류·면류)
-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 배추김치, 즉석조리식품 (순대)
- 매출액 100억 이상 제조업체
- 어육소시지, 음료류, 초콜릿류, 특수용도식품, 과자, 캔디류, 빵류, 떡류, 국수, 유탕면류, 즉석섭취식품
식품 HACCP 의무 적용 대상
-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제조·가공업(운반급식), 식품제조·가공업(주류제조)
- 즉석판매제조·가공업
- 식품첨가물제조업
- 건강기능식품제조업
-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 집단급식소
- 식품접객업 (휴게음식점영업, 일반음식점영업, 위탁급식영업, 제과점영업)
- 식품소분·판매업(식품소분업, 기타식품판매업)
- 식품냉동·냉장업
- 즉석판매제조·가공업
- 식품첨가물제조업
- 건강기능식품제조업
-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
- 집단급식소
- 식품접객업 (휴게음식점영업, 일반음식점영업, 위탁급식영업, 제과점영업)
- 식품소분·판매업(식품소분업, 기타식품판매업)
- 식품냉동·냉장업
축산물 HACCP 의무 적용 분야
- 도축업, 집유업 (농식품부 위탁)
- 축산물 가공업 (식육가공업, 유가공업, 알가공업)
- 식용란선별포장업
진행중인 식육가공업 의무적용 시행일
- 축산물 가공업 (식육가공업, 유가공업, 알가공업)
- 식용란선별포장업
진행중인 식육가공업 의무적용 시행일
업종 | 단계 | '16년도 매출액 기준 | 의무적용 시행일 | 비고 |
---|---|---|---|---|
식육가공업 | 1단계 | 20억원 이상 | 2018년 12월 1일 | 완료 |
2단계 | 5억원 이상 | 2020년 12월 1일 | 완료 |
축산물 HACCP 의무 적용 대상
- 축산물가공업 - 식육가공업, 유가공업, 알가공업
- 식육포장처리업
- 식용란선별포장업
- 축산물보관업
- 축산물운반업
- 축산물판매업: 식육판매업, 식육부산물전문판매업, 축산물유통전문판매업, 식용란수집판매업
- 식육즉석판매가공업
- 가축사육업: 돼지, 한우, 젖소, 육우, 육계, 산란계, 오리, 부화업, 메추리, 산양, 사슴
- 종축업
- 부화업
- 사료제조업: 배합사료, 단미사료
- 관련 업종: 돼지, 한우, 젖소, 육계, 식용란, 오리, 메추리
출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 식육포장처리업
- 식용란선별포장업
- 축산물보관업
- 축산물운반업
- 축산물판매업: 식육판매업, 식육부산물전문판매업, 축산물유통전문판매업, 식용란수집판매업
- 식육즉석판매가공업
- 가축사육업: 돼지, 한우, 젖소, 육우, 육계, 산란계, 오리, 부화업, 메추리, 산양, 사슴
- 종축업
- 부화업
- 사료제조업: 배합사료, 단미사료
- 관련 업종: 돼지, 한우, 젖소, 육계, 식용란, 오리, 메추리
출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