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소식] 손낙훈 교수님, 연구 과제 보도자료
  • 작성일 2025.05.30
  • 작성자 통계학과
  • 조회수 10


대장용종 절제 때 출혈 예방 혈소판 수치 기준 나왔다

  •  이영재 기자
  •  승인 2025.05.26 09:33


한혜경·허철웅 연세의대 교수팀, 출혈 위험 따른 맞춤형 치료전략 제시
혈소판 9만/μL 미만에서 즉각 출혈 2.7배, 지연 출혈 9.7배 위험 높아
명확한 기준 첫첫 규명 성과… 고위험군 표준화된 예방 전략 개발 기대
왼쪽부터 한혜경·허철웅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김태일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손낙훈 계명대 통계학과 교수.
왼쪽부터 한혜경·허철웅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김태일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손낙훈 계명대 통계학과 교수.

대장 용종 절제 시 출혈 예방을 위한 혈소판 최소 수치 등 출혈 위험도에 따른 맞춤 치료전략이 제시됐다. 

한혜경·허철웅 연세의대 교수(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태일 연세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손낙훈 계명대 교수(통계학과) 공동연구팀은 대장 용종 절제술 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혈소판의 최소 수치를 밝히고, 출혈 위험도에 따른 맞춤 치료 전략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소화기학회 공식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기적인 대장내시경과 용종 절제술은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용종 절제술 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출혈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기존 치료 지침에서는 출혈 예방을 위한 혈소판 수치의 기준이 있었으나, 이는 진단 내시경 또는 조직검사에 한정됐다. 

연구팀은 대장 용종 절제술에서도 안전한 시술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시술 후 출혈에 혈소판 감소증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

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시행한 대장내시경과 용종 절제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했으며, 총 2만 1562명의 환자와 4만 1930개 용종을 분석했다. 다양한 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과 가중치 분석을 병행했다.

혈소판 수치에 따른 출혈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9만/μL 미만 환자군은 9만/μL 이상 환자군과 비교해 즉각 출혈(IPPB) 위험은 약 2.7배, 지연 출혈(DPPB) 위험은 약 9.7배 높았다.
혈소판 수치에 따른 출혈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9만/μL 미만 환자군은 9만/μL 이상 환자군과 비교해 즉각 출혈(IPPB) 위험은 약 2.7배, 지연 출혈(DPPB) 위험은 약 9.7배 높았다.

연구 결과, 안전한 대장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기 위한 최소 혈소판 수치는 9만/μL(마이크로리터당 9만 개)로 나타났다. 혈소판 수치가 9만/μL 미만인 환자는 대조군과 비교해 즉각 출혈 위험이 약 2.7배, 지연 출혈 위험이 약 9.7배 높았다. 고위험 시술(20㎜ 이상 큰 용종에 대한 내시경 점막 절제술 또는 내시경 점막하층 박리술)에서는 10만/μL 미만에서 출혈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위험·고위험 시술에 따른 안전한 혈소판 수치 기준을 제시하고, 출혈 위험이 큰 환자에게는 예방적 지혈술 및 비전기열적 절제술(cold snare)을 적용해 출혈 위험을 낮추는 등 환자 안전을 위한 실제 임상 적용 지침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대장 용종 절제술 시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 혈소판 기준을 처음으로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 지침이 진단 내시경 또는 조직검사에 한정된 기준만을 제시했던 것과 달리, 더욱 침습적인 시술인 용종 절제술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임상 기여도가 높다는 평가다. 

현혜경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혈소판 감소 환자에 대한 대장내시경 시술의 안전성을 높이고, 의료진이 근거 기반의 판단을 내리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라면서 "향후 다기관 전향적 연구와 함께 출혈 고위험군에 대한 표준화된 예방 전략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출처 :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595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